티스토리 뷰

반응형

도매사이트에서 찾은 물건을 판매하기 위해 등록을 하려면, 손해보지 않도록 적정한 가격을 산정해야한다.

 

최종판매 가격 산정시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고려해서 계산해야한다.

 

  • 원가
  • 마진 (매입원가 대비 or 최종판매가 대비 설정필요)
  • 플랫폼 수수료 (플랫폼 수수료는 최종판매에 대해서 정해짐)
  • 부가가치세
  • 종합소득세

 

여기서,

 

"마진"의 경우 매입원가 대비 마진을 적용할 것인지, 최종판매가격대비 마진을 적용할 것인지 결정을 해야한다.

동일한 마진을 설정한다면, 당연히 최종판매가격 대비 마진을 설정하는 것이 나한테 떨어지는 이익이 늘어나지만 그만큼 판매가격이 늘어나서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본인이 잘 판단해서 결정해야한다.

 

종합소득세의 경우, 매년 한해 동안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서 세금을 내게 되는데, 여기에는 (위탁판매)사업을 통해 얻은 소득이 포함되어진 총 소득금액 대해서 정해진 세율만큼 납부를 해야된다.

 

초보사업자라면 이 부분은 지금 당장 고려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으나, 의외로 갑자기 사업이 잘 될 경우, 연말에 부담해야되는 세금이 많아질 수 있으므로, 판매가격에 미리 반영을 해 두는 편이 좋다. 대략 24% 정도를 설정해서 반영하면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소득개요

 

 

 

종합소득세율

 

 

판매가격산정

아래와 같이, 마진을 원가대비와 판매가 대비로 설정한 경우에 대해서 각각 최종판매 가격을 산정해보았다.

마진을 20%로 설정할 경우, 원가대비 마진 설정시 70%, 판매가대비 마지 설정시에는 100% 높게 설정해야한다. 최종 판매가격은 각자 설정해서 결정하면된다.

 

1) 마진을 매입 원가 대비로 설정한 경우

 

판매가격산정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원가(A), 매입원가대비마진(B%), 플랫폼수수료(C%), 부가세 (D%), 종합소득세(E%)로 설정하여 공식을 만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최종판매가 = 원가 + 마진 + 플랫폼수수료 + 부가세 + (마진에대한) 종합소득세

 

2) 마진을 최종 판매가 대비로 설정한 경우

 

판매가격산정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원가(A), 최종판매가대비마진(B%), 플랫폼수수료(C%), 부가세 (D%), 종합소득세(E%)로 설정하여 공식을 만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최종판매가 = 원가 + 마진 + 플랫폼수수료 + 부가세 + (마진에대한) 종합소득세


 

위탁판매 최종판매가 산정 엑셀.xlsx
0.01MB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